일 | 월 | 화 | 수 | 목 | 금 | 토 |
---|---|---|---|---|---|---|
1 | 2 | 3 | ||||
4 | 5 | 6 | 7 | 8 | 9 | 10 |
11 | 12 | 13 | 14 | 15 | 16 | 17 |
18 | 19 | 20 | 21 | 22 | 23 | 24 |
25 | 26 | 27 | 28 | 29 | 30 | 31 |
- ncloud
- Linux
- 가상 호스트
- Windows Sever
- Windows Server
- web
- acl
- 디스크 관리
- DNS
- subnet mask
- /etc/default/useradd
- 비구름
- Vmware
- Winodws Server
- router
- 접근 권한
- network
- raincloud
- ip
- SSH
- naver cloud
- dhcp
- packit tracer
- lvm
- VMware Workstation
- FTP
- subnetting
- SSL
- NFS
- 네트워크
- Today
- Total
비구름
19. Linux - Quota(디스크 용량 제한) 본문
목차
1. Quota란?
2. Quota 명령어
3. Quota 실습
1. Quota란?
1.1. Quota
: 파일시스템마다 사용자나 그룹이 생성할 수 있는 파일의 용량과 개수를 제한하는 것
- soft limits : 유예기간 내에는 넘을 수 있는 한계 값
- hard limits : 사용자가 절대로 넘을 수 없는 최대치를 명시한 값
1.2. Quota 설정 방식
- Block limits : 하드디스크에서 사용자가 사용할 수 있는 파일의 전체 용량을 설정하는 방법
- File limits : 사용자가 사용할 수 있는 총 파일 수로 설정하는 방법
2. Quota 명령어
2.1. yum install quota : quota 설치 명령어
2.2. vi /etc/fstab : 파일 시스템의 제한 여부 설정을 위한 파일 open
2.3. quotacheck : 쿼터 파일을 생성, 확인, 수정하기 위해 파일 시스템을 스캔
-a : 전체 파일 시스템을 스캔
-u : 사용자의 쿼터 확인
-g : 그룹 쿼터 확인
-m : 파일 시스템을 리마운트 하지 않음
-v : 명령 진행 상황을 상세하게 출력
2.4. edquota : 쿼터 설정 명령어
-u : 사용자 쿼터 설정
-g : 그룹 쿼터 설정
-p : 쿼터 설정 복사
2.5. repquota : 쿼터 정보 요약 출력
-u : 사용자 쿼터 정보 출력
-g : 그룹 쿼터 정보 출력
2.6. quotaon : 파일 시스템의 쿼터 기능 활성화
2.7. quotaoff : 파일 시스템의 쿼터 기능 비활성화
3. Quota 실습
3.1. useradd 명령어를 통해 사용자 a를 생성합니다.
3.2. getenforce를 통해 SELinux가 비활성화된 상태가 맞는지 확인합니다.
3.3. yum install -y quota 명령어를 통해 quota를 설치합니다.
(저는 이미 설치되어 있기 때문에 Nothing to do 메시지가 나타납니다.)
3.4. fdisk /dev/sdb 명령어를 통해 새 파티션을 할당합니다.
3.5. mkfs 명령어를 통해 /dev/sdb1의 파일 시스템을 ext4로 설정합니다.
3.6. mount 할 /quo 디렉토리를 만들고 /dev/sdb1을 /quo 디렉토리에 mount 합니다.
3.7. vi 편집기로 /etc/fstab 파일을 수정하여 quota를 설정하기 위해 open 합니다.
3.8. /etc/fstab의 제일 아래줄에 /dev/sdb1 /quo ext4 defaults,usrjquota=aquota.user,jqfmt=vfsv0 0 0 을 삽입합니다.
(group quota : /dev/sdb1 /quo ext4 defaults,grpjquota=aquota.group,jqfmt=vfsv0 0 0)
3.9. 재부팅이나 remount를 합니다.(이미 mount를 했을 경우에만 remount가 가능)
3.10. mount 명령어로 아래와 quota가 정상적으로 설정 됐는지 확인합니다.
3.11. /quo 디렉토리로 이동 후 quotacheck 명령어로 quota database를 생성합니다.
3.12. edquota 명령어로 a 사용자에게 할당할 디스크의 크기를 설정합니다.
3.13. edquota 명령어의 -t 옵션으로 유예기간을 설정합니다.
(gruop의 경우 : edquota –T –g 그룹이름)
3.14. quotaon 명령어로 quota를 활성화 시킵니다.
3.15. setfacl 명령어를 통해 a 사용자의 디렉토리 권한을 변경하고, getfacle 명령어로 확인합니다.
3.16. repquota 명령어를 통해 quota의 정보를 요약하여 출력합니다.
3.17. 사용자 a로 login 후 3M 크기의 파일을 생성합니다.
3.18. 생성한 파일을 복사합니다.
3.19. 파일을 복사 후 repquota 명령어를 통해 quota의 상태를 확인합니다.
3.20. 파일을 추가로 복사하여 soft limits의 사이즈를 넘긴 후 메시지를 확인합니다.
3.21. repquota 명령어로 quota의 상태를 확인합니다. (soft limits를 초과하여 유예기간이 주어짐)
3.22. 파일을 추가로 복사하여 hard limits에 도달시키고 메시지를 확인합니다.
3.23. repquota 명령어로 quota의 상태를 확인합니다.
3.24. date 명령어로 날짜를 유예기간 이후로 변경합니다.
3.25. repquota 명령어로 quota의 상태를 확인합니다.
3.26. /quo 디렉토리에서 나온 후 quota를 비활성화합니다.
3.27. /quo/aquota.user 파일을 삭제합니다.
3.28. mount를 해제합니다.
3.29. vi 편집기로 /etc/fstab 파일을 open 후 삽입했던 /dev/sdb1 /quo ext4 defaults,usrjquota=aquota.user,jqfmt=vfsv0 0 0 을 삭제합니다.
3.30. fdisk 명령어를 통해 파티션을 삭제합니다.
'공부' 카테고리의 다른 글
21. Linux 패키지 관리(2) (0) | 2022.03.03 |
---|---|
20. Linux 패키지 관리(1) (0) | 2022.03.01 |
18. Windows Server 접근 권한 관리(로컬 사용자 및 그룹) & 문제 풀이 (0) | 2022.02.27 |
17. Linux 접근 권한 설정(ACL) (0) | 2022.02.24 |
16. Linux 디스크 관리(2) 파티션 분할하여 Linux 설치하기(/, swap, /boot, /var, /home) & LVM (0) | 2022.02.23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