일 | 월 | 화 | 수 | 목 | 금 | 토 |
---|---|---|---|---|---|---|
1 | 2 | 3 | ||||
4 | 5 | 6 | 7 | 8 | 9 | 10 |
11 | 12 | 13 | 14 | 15 | 16 | 17 |
18 | 19 | 20 | 21 | 22 | 23 | 24 |
25 | 26 | 27 | 28 | 29 | 30 | 31 |
- Vmware
- ncloud
- network
- Windows Sever
- NFS
- /etc/default/useradd
- 디스크 관리
- acl
- web
- subnetting
- SSL
- FTP
- raincloud
- Winodws Server
- 비구름
- dhcp
- lvm
- subnet mask
- 네트워크
- ip
- 가상 호스트
- VMware Workstation
- packit tracer
- router
- DNS
- 접근 권한
- Windows Server
- Linux
- naver cloud
- SSH
- Today
- Total
목록FTP (7)
비구름

목차 1. NAVER CLOUD 서버 구축 1. NAVER CLOUD 서버 구축 1.1. 서버 생성 및 도메인 등록 1.2. CentOS7-1 설정 1.2.1. nfs 설정 1.2.2. DNS 설정 1.2.3. WEB 설정 1.2.4. SSH 설정 1.2.5. SSL 설정 1.3. CentOS7-2 설정 1.3.1. DNS 설정 1.3.2. WEB 설정 1.3.3. SSH 설정 1.3.4. SSL 설정 1.4. CentOS7-3 설정 1.4.1. DNS 설정 1.4.2. FTP 설정 1.4.3. WEB 설정 1.4.4. MAIL 설정 1.4.5. SSH 설정 1.4.6. SSL 설정 1.5. 설정 Test 1.5.1. DNS, WEB 테스트 1.5.2. FTP 테스트 1.5.3. nfs 테스트 1.5.4..

목차 1. SSL이란? 2. 개인키, 공개키 생성 3. SSL 실습 1. SSL이란? - 전송하는 데이터 암호화 - 종단간 신뢰성 확보(공인인증서 : 신뢰성 확보 가능, 사설인증서 : 신뢰성 확보 불가능) - 제3자 공인인증기관 (KISA – 6개의 중간인증기관) 1.1. 대칭키 암호화 - 암호화 키와 복호화 키가 같음 - 키가 유출되면 원본 훔쳐보기 가능 -> 원본 위조(데이터 조작) 위험 - 키 관리의 문제점이 발생함 1.2. 공개키 암호화(RSA) - 암호화 키와 복호화 키가 다름(복호화 : 개인키, 암호화 : 공개키) - 공개키로 암호화된 것을 개인키로 풀 수 있지만 반대로는 불가능 1.3. 전자서명의 구조 (1) 데이터를 해쉬값으로 만듦 (2) 개인키로 해쉬값을 암호화 (3) 암호화 키로 데이터..

목차 1. Windows Server 문제풀이 1. Windows Server 문제풀이 1.1. W2K19-AD1 설정 1.1.1. DHCP 서버를 설정합니다. 1.1.2. DNS 서버를 설정합니다. 1.2. W2K19-MEM1 설정 1.2.1. 보조 DHCP 서버 설정를 설정합니다. 1.2.2. 보조 DNS를 생성합니다.(정방향 조회 영역) - W2K19-AD1의 DNS 서버에서 설정 1.2.3. 보조 DNS에서 역방향 조회 영역을 생성합니다. 1.2.4. FTP 서버를 설정합니다. - 테스트를 위해 각 폴더 안에 txt 파일을 생성 - 전역가상 디렉터리 = Linux의 chroot 1.2.4.1. FTP 사이트를 추가합니다. 1.2.4.3. FTP 서버의 동작을 확인합니다. 1.3. W2K19-MEM..

목차 1. Windows Server FTP 설정 2. Windows Server WEB 설정 3. Windows Server DNS 설정 1. Windows Server FTP 설정 1.1. 역할 및 기능 추가 마법사로 FTP 서버를 설치합니다. 1.2. FTP 서버에서 최상위 디렉토리로 사용할 폴더를 생성합니다. 1.3. 설치한 IIS 관리자를 실행하고 FTP 사이트를 추가합니다. 1.4. FTP 사이트가 생성된 것을 확인합니다. - FTP IP 주소 및 도메인 제한 : IP 또는 도메인 주소로 제한 FTP 연결 제한 - FTP SSL 설정 : SSL 설정 - FTP 권한 부여 규칙 : 사용자별 FTP 접근 권한 설정(FTP 인증과 같이 설정해야 함) - FTP 디렉터리 검색 : 디렉터리의 권한을 볼..

목차 1. 종합문제 풀이 1. 종합문제 풀이 1.1. 문제 1.2. CentOS7-2 설정 1.2.1. 패키지를 설치합니다.(DNS, FTP, HTTP) 1.2.2. 사용자 aa와 bb를 추가하고 500MB의 파일을 생성합니다. 1.2.3. banner 파일, chroot 파일, xferlog 파일이 저장될 /data 디렉토리를 생성하고 설정 파일을 작성합니다. 1.2.4. tcp_wrappers를 설정해 10.0.0.201의 접근을 차단합니다.(deny만 설정해주면 됨) 1.2.5. /etc/vsftpd/vsftpd.conf 파일을 설정합니다. 1.2.6. FTP 방화벽 포트를 설정합니다. 1.2.7. FTP 서버가 정상적으로 동작하는지 확인합니다. 1.2.8. /etc/httpd/conf/httpd...

목차 1. mkdir 활용 2. FTP 명령어 3. FTP(Active Mode, Passive Mode) 1. mkdir 활용 1.1 mkdir 활용 문제 - 업무보고서를 저장할 디렉토리를 생성 - 월별 업무보고서 디렉토리 생성 - 일별 업무보고서 파일 생성 ex) 2월10일.txt 1.2. 중간에 빠트린 명령어를 넣어서 명령문 작성 2. FTP 명령어 - ftp : ftp 접속 - quit : ftp 종료 - open : 재연결 - ls, dir : 서버쪽 디렉토리 확인 - cd : 서버쪽 이동 - dir! 로컬 확인 - get : 파일 개별 다운로드 - put : 파일 개별 업로드 - lcd : 로컬 이동 - mget : 파일 다중 다운로드 - mput : 파일 다중 업로드 3. FTP(Active..

목차 1. FTP 2. TCP, UDP 포트 3. 설치 및 설정 4. 실습 1. FTP(File Transfer protocol) - 대용량 파일 전송 (Upload, Download) 1.1 Linux에서의 FTP 1.1.1. vsftpd or proftpd 1.1.2. 인증 및 제어(21번 포트, TCP) 1.1.3. Data전송(20번 포트) 1.1.3.1. Active - Client가 Data 전송포트를 결정 - Client Port를 모두 Open해야함 - 실습에서는 FTP Program만 사용가능하도록 Port 설정 1.1.3.2. Passive - Server가 Data 전송포트를 결정, 대부분 이 방식을 사용 - 방화벽에서 Data 전송포트만 Open하면됨 2. TCP, UDP 포트 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