일 | 월 | 화 | 수 | 목 | 금 | 토 |
---|---|---|---|---|---|---|
1 | 2 | 3 | ||||
4 | 5 | 6 | 7 | 8 | 9 | 10 |
11 | 12 | 13 | 14 | 15 | 16 | 17 |
18 | 19 | 20 | 21 | 22 | 23 | 24 |
25 | 26 | 27 | 28 | 29 | 30 | 31 |
- acl
- dhcp
- Windows Sever
- web
- Winodws Server
- naver cloud
- /etc/default/useradd
- ncloud
- Windows Server
- network
- packit tracer
- subnet mask
- 접근 권한
- router
- Vmware
- 디스크 관리
- DNS
- SSH
- raincloud
- NFS
- FTP
- SSL
- 가상 호스트
- 비구름
- VMware Workstation
- 네트워크
- ip
- Linux
- lvm
- subnetting
- Today
- Total
목록디스크 관리 (2)
비구름

지난 포스팅에 이어서 Linux 디스크 관리에 관해서 포스팅 하겠습니다. 1. Linux의 파티션 구성 1.1. / : root 디렉토리) 위치하게 되는 파티션 - 모든 파일은(/boot에 들어가는 것 제외) root 파티션에 들어가게 됨 1.2. swap : 물리적인 메모리가 부족할 때 하드디스크에 메모리처럼 사용하기 위한 파티션 - 가상메모리(디스크를 메모리처럼 사용하는 기술, 설정된 swap 파티션을 메모리처럼 사용함) - swap이 동작하면 memory를 증설해야 함 - 통상적으로 메모리 사이즈의 2배로 설정을 권장 1.3. /boot : 부팅과 관련된 파일 존재 - 논리적인 Volume(LVM, Software RAID)에 속하게 되면 읽어들일 수가 없음 - /boot는 반드시 표준 파티션에 두..

이번 포스팅에서는 Linux 디스크 관리에 대해 알아 보겠습니다. 1. Stragae의 종류 1.1. DAS(Direct Attach Storage) : PC나 서버에 직접 연결하는 저장 장치(IDE, SCSI, SATA) 1.1.1. 특징 - 원격지에 설치가 불가능(물리적인 Machine에 내장되거나 최대 1M정도의 거리를 넘지 않는 곳에 설치) - 물리적인 연결 매체의 최대 유효거리를 넘지 못함 - 안정적이며 속도가 빠름 - 비용이 저렴 - 파일 시스템 공유는 불가능 1.2. NAS(Network Area Storage) : 서버와 저장 장치가 이더넷 등의 LAN 방식의 네트워크로 연결된 방식 (통상적으로 네트워크 환경 내에 구성됨) 1.2.1. 특징 - 100Mbps~1Gbps의 속도를 갖고 있음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