일 | 월 | 화 | 수 | 목 | 금 | 토 |
---|---|---|---|---|---|---|
1 | 2 | 3 | ||||
4 | 5 | 6 | 7 | 8 | 9 | 10 |
11 | 12 | 13 | 14 | 15 | 16 | 17 |
18 | 19 | 20 | 21 | 22 | 23 | 24 |
25 | 26 | 27 | 28 | 29 | 30 | 31 |
- naver cloud
- /etc/default/useradd
- Windows Server
- acl
- Vmware
- ip
- subnetting
- dhcp
- Winodws Server
- SSL
- 네트워크
- router
- VMware Workstation
- raincloud
- network
- Windows Sever
- subnet mask
- ncloud
- lvm
- packit tracer
- 디스크 관리
- web
- FTP
- 접근 권한
- 비구름
- SSH
- NFS
- DNS
- 가상 호스트
- Linux
- Today
- Total
목록NFS (2)
비구름

목차 1. NAVER CLOUD 서버 구축 1. NAVER CLOUD 서버 구축 1.1. 서버 생성 및 도메인 등록 1.2. CentOS7-1 설정 1.2.1. nfs 설정 1.2.2. DNS 설정 1.2.3. WEB 설정 1.2.4. SSH 설정 1.2.5. SSL 설정 1.3. CentOS7-2 설정 1.3.1. DNS 설정 1.3.2. WEB 설정 1.3.3. SSH 설정 1.3.4. SSL 설정 1.4. CentOS7-3 설정 1.4.1. DNS 설정 1.4.2. FTP 설정 1.4.3. WEB 설정 1.4.4. MAIL 설정 1.4.5. SSH 설정 1.4.6. SSL 설정 1.5. 설정 Test 1.5.1. DNS, WEB 테스트 1.5.2. FTP 테스트 1.5.3. nfs 테스트 1.5.4..

목차 1. 페이지에 이미지 추가 2. 가상 호스트 분리 3. NFS 1. 페이지에 이미지 추가 1.1. Host PC에서 SSH를 활용해 이미지를 복사 1.2. index.html 파일 작성 1.3. 페이지 확인 2. 가상 호스트 분리 - /etc/httpd/conf/httpd.conf 파일에 작성하지 않고 따로 분리하여 작성 3. NFS (Network File System) - 파일 시스템 공유 가능 - 패키지 설치 : yum install –y nfs-utils - 기존에는 Linux끼리만 공유가 가능했지만 현재는 Widows도 공유 가능 3.1. NFS 패키지 설치 3.2. NFS로 사용할 디렉토리 생성 3.3. /etc/exports 파일 설정 - rw : 읽기, 쓰기 허용 - sync : 변경..