일 | 월 | 화 | 수 | 목 | 금 | 토 |
---|---|---|---|---|---|---|
1 | 2 | 3 | ||||
4 | 5 | 6 | 7 | 8 | 9 | 10 |
11 | 12 | 13 | 14 | 15 | 16 | 17 |
18 | 19 | 20 | 21 | 22 | 23 | 24 |
25 | 26 | 27 | 28 | 29 | 30 | 31 |
- subnet mask
- Linux
- ncloud
- router
- Windows Server
- 네트워크
- naver cloud
- dhcp
- 가상 호스트
- acl
- Windows Sever
- DNS
- web
- 비구름
- NFS
- Vmware
- packit tracer
- network
- VMware Workstation
- raincloud
- SSL
- 디스크 관리
- /etc/default/useradd
- FTP
- 접근 권한
- lvm
- subnetting
- Winodws Server
- SSH
- ip
- Today
- Total
목록Linux (12)
비구름

저번 포스팅에 이어서 DHCP에 대해서 포스팅하도록 하겠습니다. 목차 1. DHCP 추가 설명 2. DHCP 문제풀이 1. DHCP 추가 설명 1.1. DHCP Binding Address - DHCP Server는 반드시 서비스하는 Network 대역 중 하나의 IP를 고정 IP로 갖고 있어야 함 ex) 네트워크가 1.0.0.0 255.255.255.0 일 때 1.0.0.1~10.0.0.254 사이의 IP Address를 갖고 있어야 함 ( 범위 외의 IP Address를 갖고 있으면 서비스가 안됨) 1.2. DHCP 옵션(Windows) - 최상위 옵션이 상속되긴 하지만 해당 범위에 옵션이 설정되어 있으면 Overall됨 - 서버 옵션 -> 범위 옵션 -> 예약 옵션 순으로 적용이 됨 - 우선 순위 ..

1. DHCP (Dynamic Host Configuration Protocol) 1.1 DHCP란? - IP Address를 할당하는 기술 - IP 자원을 효율적으로 운영, 관리하는 기능 1.2. DHCP 4단계 - Discover : 처음에 클라이언트가 Discover 메시지를 Broadcast 방식으로 네트워크 전체에 전달 - Offer : DHCP 서버에서 클라이언트에게 IP address, SM, 임대시간, 서버 IP 등을 제안 - Request : DHCP 서버에서 제안 받은 IP Address 요청(Unicast 방식) - Ack : 확인 응답 1.3. 2계층 통신 - MAC Address만 확인 - 유효하지 않은 MAC Address에도 IP를 할당 - MAC Filtering 기능을 활용..

목차 1. 계열사별 패키지 2. 패키지 매니저 종류 3. 패키지 관리 실습 1. 계열사별 패키지 계열사 패키지 파일명 명령어 Red Hat rpm # yum Debian deb # apt SUSE rpm # zypper 2. 패키지 매니저 종류 2.1 yum - 인터넷 상의 Repository(저장소)를 이용해서 패키지를 관리 - 주로 배포판 개발 회사들이 관리 - 설치가 매우 쉬움 - 의존성 문제를 해결해 줌 - 반드시 인터넷 DNS가 정상적으로 동작해야 함 - 최신 버전이 아닌 안정화된 버전으로 설치됨 - custermizing이 불가능 (설치 위치나 모듈 선택 불가) - 업그레이드 시 설정 파일이나 데이터 파일 백업 불필요 2.2. rpm - Binary 설치보다는 쉬움 - 의존성 문제에서 자유롭지..

목차 1. Quota란? 2. Quota 명령어 3. Quota 실습 1. Quota란? 1.1. Quota : 파일시스템마다 사용자나 그룹이 생성할 수 있는 파일의 용량과 개수를 제한하는 것 - soft limits : 유예기간 내에는 넘을 수 있는 한계 값 - hard limits : 사용자가 절대로 넘을 수 없는 최대치를 명시한 값 1.2. Quota 설정 방식 - Block limits : 하드디스크에서 사용자가 사용할 수 있는 파일의 전체 용량을 설정하는 방법 - File limits : 사용자가 사용할 수 있는 총 파일 수로 설정하는 방법 2. Quota 명령어 2.1. yum install quota : quota 설치 명령어 2.2. vi /etc/fstab : 파일 시스템의 제한 여부 설..

목차 1. ACL(Access Control List) 2. ACL 명령어 3. 연습문제를 통한 ACL 명령어 실습 1. ACL(Access Control List) 1.1. ACL(Access Control List)이란? - 접근 제어 목록을 설정하여 특정 사용자나 그룹에게만 파일이나 디렉토리에 접근할 권한을 부여하는 것 - 파일과 디렉토리의 확장 속성 중 하나 - chmod 명령어보다 더 다양한 권한에 대해 수행할 수 있음 2. ACL 명령어 2.1. setfacl : 파일의 확장 속성정보를 설정하는 명령어 -m :권한을 지정하거나 수정할 때 사용 ex) # setfacl -m u:a:rw 파일명 -x : 권한 삭제 ex) # setfacl -x u:a:rw 파일명 -b : 파일에 지정한 권한, m..

지난 포스팅에 이어서 Linux 디스크 관리에 관해서 포스팅 하겠습니다. 1. Linux의 파티션 구성 1.1. / : root 디렉토리) 위치하게 되는 파티션 - 모든 파일은(/boot에 들어가는 것 제외) root 파티션에 들어가게 됨 1.2. swap : 물리적인 메모리가 부족할 때 하드디스크에 메모리처럼 사용하기 위한 파티션 - 가상메모리(디스크를 메모리처럼 사용하는 기술, 설정된 swap 파티션을 메모리처럼 사용함) - swap이 동작하면 memory를 증설해야 함 - 통상적으로 메모리 사이즈의 2배로 설정을 권장 1.3. /boot : 부팅과 관련된 파일 존재 - 논리적인 Volume(LVM, Software RAID)에 속하게 되면 읽어들일 수가 없음 - /boot는 반드시 표준 파티션에 두..

이번 포스팅에서는 Linux 디스크 관리에 대해 알아 보겠습니다. 1. Stragae의 종류 1.1. DAS(Direct Attach Storage) : PC나 서버에 직접 연결하는 저장 장치(IDE, SCSI, SATA) 1.1.1. 특징 - 원격지에 설치가 불가능(물리적인 Machine에 내장되거나 최대 1M정도의 거리를 넘지 않는 곳에 설치) - 물리적인 연결 매체의 최대 유효거리를 넘지 못함 - 안정적이며 속도가 빠름 - 비용이 저렴 - 파일 시스템 공유는 불가능 1.2. NAS(Network Area Storage) : 서버와 저장 장치가 이더넷 등의 LAN 방식의 네트워크로 연결된 방식 (통상적으로 네트워크 환경 내에 구성됨) 1.2.1. 특징 - 100Mbps~1Gbps의 속도를 갖고 있음 ..

오늘은 지난 시간에 포스팅한 /etc/passwd, /etc/group 에 이어 /etc/shadow, /etc/default/useradd, /etc/login.defs, /etc/skel 에 대해서 알아 보겠습니다. 1. 파일 및 디렉토리에 대하여 1.1. /etc/shadow : 암호화된 패스워드와 패스워드 설정 정책을 갖고 있는 파일 1.2. /etc/default/useradd : 사용자를 생성할 때 여러 설정 항목들을 기본 값으로 가질 수 있도록 설정해주는 파일 ( 사용자를 생성할 때 가장 먼저 참조됨) 1.3. /etc/login.defs : 사용자 계정의 설정과 관련된 기본 값을 정의한 파일 ( 사용자를 생성할 때 두 번째로 참조됨) 1.4. /etc/skel : 사용자를 생성할 때 홈 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