반응형
Notice
Recent Posts
Recent Comments
Link
관리 메뉴

비구름

36. NFS 본문

공부

36. NFS

비구름 2022. 3. 28. 05:58
반응형

목차

1. 페이지에 이미지 추가

2. 가상 호스트 분리

3. NFS

1. 페이지에 이미지 추가

1.1. Host PC에서 SSH를 활용해 이미지를 복사

Host PC에서 복사
복사한 이미지 확인

1.2. index.html 파일 작성

<img src="1.jpg"> 추가

1.3. 페이지 확인

2. 가상 호스트 분리

- /etc/httpd/conf/httpd.conf 파일에 작성하지 않고 따로 분리하여 작성

/etc/httpd/conf.d의 모든 .conf 파일을 참조
.conf 파일 목록
virtual.conf 파일 생성
CentOS7-1 virtual.conf 파일 작성
CentOS7-2 virtual.conf 파일 작성
CentOS7-3 virtual.conf 파일 작성

3. NFS (Network File System)

- 파일 시스템 공유 가능

- 패키지 설치 : yum install y nfs-utils

- 기존에는 Linux끼리만 공유가 가능했지만 현재는 Widows도 공유 가능

 

3.1. NFS 패키지 설치

3.2. NFS로 사용할 디렉토리 생성

3.3. /etc/exports 파일 설정

/etc/exports 파일 오픈
/etc/exports 파일 설정

- rw : 읽기, 쓰기 허용

- sync : 변경 사항이 커밋된 후에만 요청에 응답(디폴트 값)

- no_root_sqoas : 클라이언트가 root 권한 획득 가능, 파일 생성시 클라이언트의 권한으로 생성됨

- anonuid : anonymous에 대한 UID 값 설정

- anongid : anonymous에 대한 GID 값 설정

 

3.4. 설정 후 nfs를 동작시키고 활성화 된 것을 확인

3.5. 방화벽 설정

3.6. 클라이언트에서 마운트 할 디렉토리 생성

3.7. 마운트 후 확인

마운트
마운트 확인

3.8. 클라이언트에서 파일 생성 후 서버에서 확인

클라이언트
서버

3.9. Windows 제어판 - 프로그램 및 기능에서 Windows 기능 켜기/끄기 클릭

3.10. NFS 기능 활성화

3.11. cmd 창에서 마운트 후 확인

마운트
내 PC에서 확인

3.12. /nfs에 외부 사용자에게 쓰기 권한을 추가해주어야 Widows에서 파일 생성 가능

쓰기 권한 추가
Windows에서 파일 생성
서버에서 파일 확인

3.13. NFS 마운트 해제

Windows 해제
Linux 해제

 

반응형

'공부' 카테고리의 다른 글

38. Windows Server(FTP, WEB, DNS)  (0) 2022.04.03
37. Mail(Linux)  (0) 2022.04.01
35. 가상 호스트, Linux 서버 구축 문제풀이  (0) 2022.03.28
34. Linux 문제풀이(DHCP, FTP, WEB, DNS)  (0) 2022.03.27
33. HTTPD, DNS, 복습  (0) 2022.03.26
Comment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