일 | 월 | 화 | 수 | 목 | 금 | 토 |
---|---|---|---|---|---|---|
1 | 2 | 3 | ||||
4 | 5 | 6 | 7 | 8 | 9 | 10 |
11 | 12 | 13 | 14 | 15 | 16 | 17 |
18 | 19 | 20 | 21 | 22 | 23 | 24 |
25 | 26 | 27 | 28 | 29 | 30 | 31 |
- ip
- 네트워크
- 비구름
- Windows Sever
- Vmware
- subnetting
- 디스크 관리
- 접근 권한
- NFS
- acl
- lvm
- Windows Server
- 가상 호스트
- ncloud
- network
- raincloud
- Winodws Server
- naver cloud
- SSH
- VMware Workstation
- web
- SSL
- Linux
- packit tracer
- /etc/default/useradd
- subnet mask
- DNS
- dhcp
- FTP
- router
- Today
- Total
목록전체 글 (44)
비구름

이번 포스팅에서는 Linux의 사용자 및 그룹 관리와 useradd, usermod 명령어에 대해 알아보도록 하겠습니다. 1.1. 사용자 및 그룹과 관련된 파일 및 디렉토리 1.1. /etc/passwd : 사용자에 대한 정보를 포함하고 있는 문서 파일 1.2. /etc/group : /etc/passwd와 유사하며, 사용자 대신에 그룹을 설정 1.3. /etc/shadow : 시스템의 shadow 패스워드를 포함하는 파일 1.4. /etc/default/useradd : 사용자를 생성할 때 여러 설정 항목들을 디폴트로 가질 수 있도록 설정해 주는 파일 1.5. /etc/login.defs : login 명령에 사용되는 설정 파일 1.6. /etc/ske1 : 사용자 계정 생성시 기본적으로 홈디렉토리에 ..

1. 파일및 디렉토리 속정정보 분석 1.1. ls -l 명령어를 사용하면 아래와 같은 파일 및 디렉토리의 속성정보를 볼 수 있습니다. 1.2. 속성정보 분석 1.2.1 -rw-r--r-- 1 root root 779 2월 17 15:23 test.txt의 속성분석 1.2.2. - : 파일 -, 디렉토리 d, Symbolic link l 1.2.3. rw- : user(owner)권한, r : 읽기(4), w : 쓰기(2), x : 실행(1) 1.2.4. r-- : group 권한, r : 읽기(4), w : 쓰기(2), x : 실행(1) 1.2.5. r-- : 기타사용자(other), r : 읽기(4), w : 쓰기(2), x : 실행(1) 1.2.6. 1 : link된 파일 개수 1.2.7. root ..

이번 포스팅에서는 Archive & 압축 명령어를 알아보겠습니다. 1. Archive 1.1. 정의 : Backup이나 압축을 위해서 여러개의 파일이나 디렉토리를 하나의 파일로 만드는 작업 1.2. 탄생 : 예전 Tape Drive 시절 여러 곳에 혼재하는 파일이나 디렉토리를 한 파일로 관리하기 위해 탄생 1.3. 명령어 1.3.1. tar (Tape Archive) 1.3.2. -c : Archive 파일 생성 (필수옵션) 1.3.3. -x : Archive 파일 해제 (필수옵션) 1.3.4. -f : 파일이름 지정 (필수옵션) 1.3.5. -v(view) : 작업 진행 과정 확인 (필수옵션 x) 1.3.6. -t : 해제하지 않고 아카이브 파일 확인 1.3.7. -r : 기존 아카이브 파일에 파일 추..

1. Linux 1.1. 1990년 핀란드 헬싱키 대학의 리누즈 토발스가 개발 1.2. Unix 교육용 운영체제 Minix가 x86시스템에서는 구동이 안되기 때문에 x86 cpu가 장착된 컴퓨터에서 Minix를 사용 가능하게 만든 버전 1.3. Linux의 디렉토리 구조 위치 설명 / 최상위(루트) 디렉토리 /bin 기본적인 명령어가 저장된 디렉토리 /boot 리눅스의 부트로더가 있는 디렉토리 /dev 리눅스에서 사용하는 디바이스 장치가 위치한 디렉토리 /etc 시스템 환경 설정 파일이 있는 디렉토리 /home 일반 사용자의 홈디렉토리가 만들어지는 디렉토리 /lib 공류 라이브러리 파일을 저장하는 디렉토리 /media CD_ROM이나 USB같은 외부 장치를 연결하는 디렉토리 /mnt 다른 장치들을 마운트..

지난 포스팅에 이어 VMware Workstation을 통한 실습을 진행하기 위해 Window Server 2019를 설치하고 실습 환경을 구축해 보겠습니다. 실습을 위해 3개의 Windows Server 2019가 필요하기 때문에 template를 먼저 만들어 주도록 하겠습니다. 1. Windows Server 2019 설치하기 1.1. Virtual machine을 아래 이미지와 같이 만듭니다. 1.2. 화면의 Edit virtual machine settings 또는 CD/DVD (SATA)를 누릅니다. 1.3. Windows Server 2019를 설치하기 위한 이미지 파일을 불러옵니다. 1.4. 실행 후 Windows Server 2019 설치를 시작합니다. 1.5. Windows Server ..

오늘은 원격 접속 Tool을 이용해 지난 포스팅에서 VMware Workstation에 만든 가상 머신으로 접속해 보겠습니다. 원격 접속 Tool은 SSH 프로토콜을 이용해 원격에서 서버에 접속합니다. SSH는 원격지 호스트 컴퓨터에 접속하기 위해 사용되는 인터넷 프로토콜을 말합니다. 원격 접속 Tool의 사용 장점 1. 원거리 시스템에 네트워크를 통해서 접속이 가능하다. 2. 각종 복사, 붙여넣기가 가능하다. 3. 콘솔을 사용하지 않아도 접속이 가능하다. 원격접속 Tool의 종류 1. PuTTY : 오픈소스 클라이언트로 가장 대중적으로 사용됩니다. 2. Xshell : 넷사랑컴퓨터에서 제작한 국산 프로그램입니다. 3. SecureCRT : 서비스를 유료로 제공하는 원격접속 Tool 입니다. 1. VMw..

오늘은 VMware Workstation에서 Windows11을 설치해 보겠습니다. 이전 포스팅들에 이어서 실습 환경을 구축하는 작업입니다. VMware Workstation을 실행후 File - New Virtual Machine을 클릭해서 설치를 시작합니다. 저는 Winodws11을 설치할 것이기 때문에 Linux가 아닌 Microsoft Windows에 체크해 주겠습니다. 이름은 W11-Test로 하고 저장 경로를 D드라이브로 설정해 주었습니다. 코어는 2개로 설정해 주었습니다. 메모리는 Windows 설치 시 2048MB 이상을 요구하기 때문에 4096MB로 설정해 주었습니다. 이후에 2048MB로 바꾸셔도 됩니다. 아래와 같은 설정으로 가상 머신을 만들었습니다. 정상적으로 가상 머신이 만들어진 ..

이번 포스팅에서는지난 포스팅에서 했던 Host Name 변경과 IP 주소 변경을 통해 가상 머신 CentOS7-1, CentOS7-2, CentOS7-3을 만들어 가상 머신 간의 네트워크 접근 상태를 확인해 보겠습니다. 지난 포스팅 보러가기 >> raincloud.tistory.com/5 4. 가상 머신 IP 설정하기 & 호스트 네임 변경하기 이번 포스팅에서는 가상 머신의 IP와 호스트 네임을 변경해 보겠습니다. 1. 가상 머신 IP 설정하기 우선 가상 머신을 실행 후 아래 경로의 설정 파일을 vi 편집기로 Open 합니다. 처음에는 화면에 필 raincloud.tistory.com 아래는 VMware Workstation에서 실습 때 사용할 시스템 구성도입니다. vi 편집기를 이용해 아래 경로의 설정 ..